관심 논문 읽고 요약하기

Paper

논문을 읽고 요약하는 나만의 방식

저자

방태모

공개

May 13, 2022

Photo by Aaron Burden on Unsplash

논문 읽기가 초심자에게는 만만치않은 작업인 만큼, 논문을 정리하는 자기만의 방식을 만들어 놓는 것은 참 중요합니다. 저 또한 아직 초심자라고 생각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제가 관심있는 논문을 읽고 정리하는 방식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합니다. 제가 스스로 터득한 방법을 소개드리는 것은 아닙니다. 논문을 읽고 정리하는 좋은 방식이 있나 싶어 검색을 하던 도중 좋은 글(An 2022)을 발견하게 됐고, 이 글을 바탕으로 저만의 방식을 정립해봤습니다. 좋은 글을 써주신 안수빈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논문 요약은 1st read(첫 번째 읽기), 2nd read(두 번째 읽기) 2가지 섹션으로 진행할 것입니다. 1st read의 결과에 따라 2nd read는 진행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1st read

첫 번째 읽기의 핵심은 빠르게 읽으며 논문의 큰 그림을 파악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5분에서 10분 정도 다음 순서에 따라 읽으라고 권합니다.

  1. 제목(title), 초록(abstract), 소개(introduction)를 집중해서 읽으세요.

  2. 섹션(section)하위 섹션(subsection)의 세부내용은 무시하고 제목만 읽으세요.

  3. 결론(conclusion)을 읽으세요.

  4. 참고문헌(reference)을 보며 저자가 인용한 논문, 이전에 읽은 논문에 대해 가볍게 체크하세요.

먼저 1st read에서는 논문을 빠르게 읽으면서 파악한 전반적인 그림에 관해 기술합니다. 첫 번째 읽기를 하고나서는 다음의 여섯 가지(5C + 1M)를 답할 줄 알아야 하며, 본 블로그에서 요약할 논문들 또한 다음과 같은 섹션으로 요약하려고 합니다.

  • Category: 논문의 종류

  • Main Topic: 논문 제목 및 주제

  • Context: 다른 페이퍼들과의 관계, 문제를 풀기 위해 사용한 이론적 바탕

  • Correctness: 논문에 필요한 가정의 명확성

  • Contributions: 논문의 핵심 기여

  • Clarity: 논문의 가독성, 명료함

논문에 필요한 가정의 명확성(Correctness)은 제 경우 보통 방법론 부분에서 모델에서 요구하는 가정이나 모델링 과정의 각 단계가 합리적인 근거로 진행 되었는지에 관심이 있으므로, 첫 번째 읽기에서 Method 부분을 빠르게 검토해보는 과정이 필요로 될 것 같습니다. 아울러, 논문의 가독성과 명확성(Clarity)에 관한 부분은 잘 아는 분야가 아니라면 감히 기술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때때로 생략할 수도 있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논문의 종류(Category)는 이 글(Hong 2012)을 참고하세요. 5C + 1M을 바탕으로 논문을 더 읽을지 말지 선택할 것입니다. 더 읽지 않는 결정을 한다면, 대부분은 다음의 이유일 겁니다.

  • 관심이 없는 내용

  • 해당 논문을 읽기엔 사전 지식이 부족

  • 저자의 가정이 모호 또는 불명확

만약, 꼭 읽어야만 하는 논문임에도 해당 논문을 읽기에 사전 지식이 부족하다면, 참고문헌(reference)들을 다시 검토해보면서 관심있는 연구 분야의 핵심 연구라고 생각 되는 것을 찾아내 읽어보는 과정을 가져야 할겁니다. 또는, 논문에 쓰인 방법론에 관한 이해가 안되어 있는 상태라면 해당 방법론의 Method paper나 Review paper를 찾아보는 것도 큰 도움이 될 겁니다.

2nd read

2nd read에서는 좀 더 세부적인 내용에 집중하라고 합니다. 단, 증명같은 디테일은 무시한채 말이죠. 핵심 사항을 노트에 적거나 테두리에 본인의 의견을 써놓는 것을 권장합니다. 두 번째 읽기는 약 1시간 정도가 소모됩니다. 처음 접하는 분야의 논문이나 개인의 논문 독해 실력에 따라 훨씬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도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사항에 주목하여 읽으세요.

  1. Figure, Diagram, Table 등 논문 내 다양한 도표와 일러스트레이션을 주의깊게 보세요. 특히, Data Science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그래프를 잘 봐야합니다. 그래프의 \(x\)축, \(y\)축, 테이블의 행과 열이 의미하는 바 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저자가 주장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 한마디로 정리할 줄 알아야합니다. 물론, 이 부분은 저자가 확실하게 주장하고자 하는 바를 가지고 시각화, 테이블 작성를 수행했다는 전제 하에 있습니다.

  2. 아직 읽지 않은 연관 논문을 체크하세요. 이 과정은 논문의 배경 지식 또는 특정 방법론에 관한 Method paper인 경우 해당 방법론의 모티베이션을 공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두 번째 읽기가 끝난 상태에서 우리가 바라는 희망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논문의 핵심 내용 이해

  • 논문의 핵심 주장에 대해 근거와 함께 요약할 수 있어야 함

그래서, 두 번째 읽기를 끝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섹션으로 상세한 추가 요약을 수행할 예정입니다.

  • Main Findings: 논문의 핵심 주장과 뒷받침 근거

  • Methods: Main Findings에 사용된 핵심 방법론에 관한 내용

  • Results: Main Findings외 다른 연구 결과

  • Limitations: 연구의 한계점

Main Findings외 다른 연구 결과에 해당하는 Results와 연구의 한계점(Limitations)는 때때로 생략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읽기는 당신이 관심있어 하지만, 당신의 전문 연구 분야는 아닌 논문에 적합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저는 제 전문 연구 분야도 위와 같은 두 번째 읽기를 통해 추가적으로 세부적인 요약을 수행할 예정입니다. 전문 연구 분야라면 훨씬 더 빠르게 두 번째 읽기를 할 수 있겠죠. 그러나, 여러 이유로 두 번째 읽기에도 이해가 안될 수도 있습니다:

  1. 이 주제나 내용이 새로워서 전문 용어나 약어에 익숙하지 않음

  2. 저자가 사용한 방법론이나 연구 결과를 낼 때 사용된 테크닉이 이해가 안됨

  3. 합리적 근거가 부족한 주장 또는 너무 많은 레퍼런스

  4. 피곤해서!

이럴 때 3가지 선택지를 제안합니다.

  1. 논문을 치우세요. 그리고, 해당 논문의 내용이 커리어에 무관하기를 바라세요.

  2. 배경 지식을 공부하고 다시 읽으세요.

  3. 노력해보고 세 번째 읽기를 해보세요.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서서 세상을 바라보라고 하는데, 거인에 어깨 위에 올라서는 것 조차 참 어렵습니다..😭

맺음말

앞으로 제 블로그에 읽은 논문들을 요약하는 글을 작성하기에 앞서, 논문 요약 방식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 것 같아서 쓰게 된 글입니다. 논문 요약 방식에 정답은 없습니다. 각자의 논문 요약 방식에 대해 나눠보는 것도 참 흥미로운 대화 거리가 될 것 같네요. 참고한 글(An 2022)에 더 좋은 내용이 많습니다. 그리고, 해당 글의 세 번째 읽기, 문헌 조사“논문 쓰기”에 도움이 될 만한 내용들 또한 기술이 되어있습니다. 다시 한 번 좋은 글 작성해주신 안수빈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저도 아직 많이 부족하지만, 이 글이 첫 논문을 접하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참고문헌

An, Subin. 2022. “[Paper Review] How to Read a Paper (SIGCOMM 07).” https://ansubin.com/paper-review-how-to-read-a-paper/.
Hong, Seonui. 2012. “02. 논문의 종류.” http://www.campuskorea.net/bbs/board.php?bo_table=any_tip1&wr_id=30.

라이센스

인용

BibTeX 인용:
@online{방태모2022,
  author = {방태모},
  title = {관심 논문 읽고 요약하기},
  date = {2022-05-13},
  url = {https://taemobang.com/posts/2022-05-13-how-to-review-a-paper/},
  langid = {kr}
}
인용방법
방태모. 2022. “관심 논문 읽고 요약하기.” May 13, 2022. https://taemobang.com/posts/2022-05-13-how-to-review-a-paper/.

새 글이 발행되면 알려드려요.

포스팅을 독려해주실 수 있어요.